Lang/Java(33)
-
9. 상속
1. 상속 (extends) 기존의 클래스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 이미 만들어진 클래스의 멤버들을 물려받아 새로운 클래스를 정의한다 공통되는 부분을 base클래스로 추상화, 이를 상속하면서 Derived 클래스를 정의한다. 하위클래스가 상위클래스를 상속받으면 하위는 상위의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부모클래스 - 상위(super)클래스, 기본(base)클래스, 조상클래스 자식클래스 - 하위(sub)클래스, 파생(derived)클래스, 자손클래스 class 클래스명 extends 부모클래스 class Parent{ } class Child extends Parent{ }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Person{ private int age; private ..
2023.03.27 -
8. static
1. static a. 메모리영역 메서드 영역 : 메서드의 바이트코드, static 변수 stack 영역 : 값 타입, 지역변수, 매개변수 등 heap영역 : 참조타입, 인스턴드 등 / 메서드는 공유하지만 객체는 영역을 따로 할당 heap메모리영역 // 참조타입 메모리 영역 확인 class Person{ //1. 멤버변수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age; public int count; // 카운트 변화 확인 //2. 생성자 Person(String name, int age){ this.name = name; this.age = age; System.out.println(++count); // 객체 생성될 때 카운트를 찍어 변화하는지 확인 } //3. 메서드 public..
2023.03.27 -
7. 클래스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객체 (object) 물건, 대상 등을 의미 상태정보(속성, 데이터) / 변수 행동(기능) / 메서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현실에 존재하는 사물, 대상, 그에 따른 행동 등을 실체화 시키는 형태의 프로그래밍 나는 상점에서 물건을 두개 구매했다 나, 상점, 물건 / 객체 사과 두개 / 상태 구매 / 행동 class appl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pple = 20; // 사과의 수, 상태정보, 변수 int money = 0; // 판매수익, 상태정보, 변수 int sale = sc.nextInt(); // 판매량, 상태정보, 변수 //판매행위를 메서드로 표현 int num = sale/1000; // 개당 1000원 a..
2023.03.27 -
6. 배열
1.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여러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 동일한 타입의 변수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어 놓은 것 참조형 객체로 heap에 할당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 배열의 이름은 연속된 변수들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값 배열의 요소들을 인덱스(intdex, 첨자)로 접근 가능 int[] arr; // 배열 선언 arr = new int[3]; // 메모리 할당 //초기화 arr[0] = 10; arr[1] = 20; arr[3] = 30; // 배열 선언과 동시에 할당 - 이후 초기화방식은 위와 같음. int arr2[] = new int[3];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까지 - 길이를 따로 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int[] arr3 = {10,20,30}; 계산된 크기의 배열 선언 컴파일 시 미리 ..
2023.03.27 -
5. 메서드
1. 메서드 기본 a. 메서드란 자주 반복하여 사용하는 내용에 대해 특정 이름으로 정의한 묶음 클래스 내부에 존재하면서 특정기능(Function)을 수행하는 최소 실행단위 반환값, 메서드 이름, 매개변수로 구성 불필요한 반복 제거, 코드의 재사용성 향상 객체지향기법 : 함수는 클래스에 소속되며 이를 메서드라 한다. b. 메서드의 종류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메서드(내장 메서드) System.out.println() 등 사용자 정의 메서드 매개변수가 있는 / 없는 메서드 반환값이 있는 / 없는 메서드 public class MethodS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int i=0;i 호출 -> 리턴 -> 리턴 -> 리턴 -> 리턴 -> 리턴 //..
2023.03.27 -
4. 제어문
1. 조건문 조건의 진위 여부에 따라 명령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문장 특정 조건이 만족될 때에만 실행하고 싶은 경우 사용a. if문 1) 기본 if문 if(조건식){ 문장; } 조건을 만족하면 문장을 실행하고, 다음 라인을 수행한다. if문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수행을 한번도 하지 않는다. import java.util.*; class If{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ystem.out.println("숫자 1을 입력하세요");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 = sc.nextInt(); if (num==1){ System.out.println("맞았습니다."); } } } 2) if~else문 if(조건..
2023.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