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73)
-
6. 서브쿼리
1. Sub query란 쿼리 안에 또 다른 쿼리가 담겨있는 것 sql문을 작성할 때 질문이 여러가지가 한번에 나오는 경우 a보다 급여를 많이 받는 사람 조회 a의 급여 조회 더 많이 받는 사람 한번 더 조회 2번의 sql 작성 이런 문제점 보안 : sub query 문법 where 조건연산자 (select ~ from where) 괄호 안에 서브쿼리 작성 주의사항 where절의 연산자 오른쪽에 위치 괄호로 묶어야 함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서브쿼리 절에 order by절이 올 수 없다 위치별 이름 select(sub query) 1행만 반환할 경우 Scalar sub query select 절에 오는 서브쿼리로 한번에 결과를 1행씩 반환 from(sub query) inline view where(s..
2023.03.27 -
6. jsp 와 jdbc
pdWrite.jsp 상품 등록 상품명 : 가격 : 상품 목록 pdWrite_ok.jsp 0){ response.sendRedirect("pdList.jsp"); }else{ System.out.println("상품등록 실패"); response.sendRedirect("pdWrite.jsp"); } }catch(SQL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3.결과처리 %> pdList 글 목록 번호 상품명 가격 등록일 상품 등록 pdDetail.jsp 상품 상세보기 번호 : 상품명 : 가격 : 등록일 : 목록 수정 삭제 pdDelete.jsp 0){ response.sendRedirect("pdList.jsp"); }else{ System.out.println("삭제 실패..
2023.03.27 -
6. 배열
1.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여러개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 동일한 타입의 변수들을 하나의 이름으로 묶어 놓은 것 참조형 객체로 heap에 할당되어야 사용할 수 있다 배열의 이름은 연속된 변수들을 참조하기 위한 참조값 배열의 요소들을 인덱스(intdex, 첨자)로 접근 가능 int[] arr; // 배열 선언 arr = new int[3]; // 메모리 할당 //초기화 arr[0] = 10; arr[1] = 20; arr[3] = 30; // 배열 선언과 동시에 할당 - 이후 초기화방식은 위와 같음. int arr2[] = new int[3]; //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까지 - 길이를 따로 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int[] arr3 = {10,20,30}; 계산된 크기의 배열 선언 컴파일 시 미리 ..
2023.03.27 -
6. 레이아웃
1. 레이아웃 구성 방법 position 값을 활용한 레이아웃 구성 position 값과 상하촤주 값을 활용하여 요소 위치를 조절 동적으로 변화하는 디자인이나 특정 위치의 좌표값을 지정해주고자 할 때 주로 이용 자바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요소의 위치가 변화할 때 사용 특정 요소가 다른 요소의 간섭 없이 일정 위치에 자리잡아야 할 때 사용 float을 이용한 상대위치를 사용하는 방법 float과 clear 속성을 활용하여 상대적 위치를 조절 콘텐츠가 유동적이어도 문제가 없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 특정 좌표값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동적으로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요소 겹침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2. CSS 초기화 요소의 기본 스타일 값은 브라우저의 종류나 버전별로 차이가 있다 css를 초기화 하여, ..
2023.03.27 -
5. 조인
1. Join 각각의 테이블에 분리되어있는 연관성 있는 데이터들을 연결하거나 조합하는 일련의 작업들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만 가져와 가상의 테이블 간 공통된 열을 기준으로 검색 오라클용 join : 오라클 제품에서 사용되는 join 표준(ANSI) join : 모든 제품들에서 공통적으로 사용가능한 join 종류 내부 조인 (inner join) 외부 조인 (outer join) 셀프 조인 (self join) cross 조인 2. Inner Join 내부 join 등가 join where 절에 기술되는 join조건 양쪽 테이블에 같은 조건이 존재할 경우의 값만 가져온다 equal 연산자 사용 equi join 이라고도 한다 오라클 구문 from a, b where a.1 = b.1; ANSI 구문 from..
2023.03.27 -
5. http, get과 post
1. HTTP 프로토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의 데이터 통신 규칙 웹 페이지의 링크 클릭 웹 브라우저는 http 요청 형식에 따라 웹 서버에 데이터 전송 웹 서버는 받은 데이터를 분석, 처리 응답하여 보내는 데이터도 http 응답 형식에 맞추어 전송 HTTP tcp/ip 위에서 돌아간다 웹에서만 사용하는 프로토콜 stateless, connectless의 특징 연결 유지x, 상태 정보 유지 x 요청시 연결, 응답 후 연결 종료를 반복 구글 크롬-도구-개발자도구(f12)-network에서 확인 가능 요청/응답을 끊임없이 주고 받는 구조 http 응답 안에 html 컨텐츠가 데이터로 포함 2. GET, POST get 단순한 요청 url에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전송 http header에 정보를 실어 보..
2023.03.27